망부석 설화
절개 굳은 아내가 외지에 나간 남편을 고개나 산마루에서 기다리다가
만나지 못하고 죽어 돌이 되었다는 설화.
대표적인 설화는 신라시대 박제상(朴堤上, 또는 金堤上)의 아내가
치술령에서 죽어 망부석이 되었다는 이야기
눌지왕 때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간 왕제(王弟)를 구해 온 박제상은
집에도 들르지 않고 바로 일본에 건너가 또 다른 왕제를 구해 보낸 뒤
일본에서 신라의 신하임을 고집하다 죽는다.
그의 아내는 일본에 간 남편을 기다리 죽어서 망부석이 되고,
그 곳 주민은 부인을 칭송한다.
박제상의 부인은 죽어서 치(審)라는 새가 되고
같이 기다리다 죽은 세 딸은 술(述)이라는 새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고,
이들 모녀가 치술령신모(審述嶺神母)가 되었고
이에 주민들이 사당을 지어 모셨다는 기록도 있다.
전라북도 정읍시 정읍사공원에 있는 망부석은
아내가 장사를 나간 남편을 기다리던 곳을 기념한 돌이며
여기에 〈정읍사 井邑詞〉노래와 이 노래를 이야기로 꾸민 전설이 있는데,
이것도 오랜 기념정신을 뜻하는 것이다
경상북도 영일군의 〈망부산(望夫山)솔개재전설〉은
신라 말 경애왕 때 소정승(蘇政丞)이 일본에 사신으로 가 돌아오지 않자
부인이 산에 올라가 기다리다 지쳐 죽어 산 이름이 망부산이 되었으며,
부인을 기념하는 뜻에서 사당인 망부사(望夫祠)를 짓고
같이 기다리던 개와 말의 무덤을 만들어 주었다는 내용으로,
〈치술령망부석전설〉의 변형이라 하겠다.
'쉼터 >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전어 (0) | 2016.02.07 |
---|---|
배열부전(裵烈婦傳) (0) | 2016.02.07 |
혜소국사비(慧炤國師碑) (0) | 2016.02.06 |
용이 기어오른 흔적이 있는 바위 (0) | 2016.02.05 |
개와 고양이의 구슬다툼:견묘보주탈환(犬猫寶珠奪還) (0) | 2016.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