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약 중간사 18

제11장 히브리어 구약성경의 헬라어 역

제11장 히브리어 구약성경의 헬라어 역 예레미야 시대 이후부터 유대인의 한 식민지가 애굽에서 정착하였음이 항상 발견되어 왔었다. B.C. 587년 예레미야를 강제 동반하여 애굽으로 도피한 자들은 엽(Jeb), 혹은 엘레판틴에 세워진 군사적 식민지를 이끌어간 후예들의 조상들이었을 것이다. 그들은 B.C. 525년 보다 얼마 전에 신전을 건축하였다. 알렉산더 대제가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하였던 B.C. 332년은 애굽의 그리스의 식민지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였다. 이 때부터 유대인들은 이 거대한 상업과 문화의 중심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A.D. 1세기경 애굽에는 거의 1백만의 유대인이 거주하였으며, 알렉산드리아의 5개 구 가운데서 2 개가 유대인의 구역으로 알려졌다. 유대인들은 이곳에서 헬라..

제12장 사해 동굴에서 발견된 문헌들

제12장 사해 동굴에서 발견된 문헌들 1947년부터 지금 (1975년)까지의 28년은 중간사 문헌에 대한 괄목할 만큼 새로운 자료들을 추가시켜주었다. 유대교와 기독교에 있어서 커다란 중요성을 지닌 놀랄 만한 고고학적 발견이 사해의 서안을 들어가는 계곡의 동굴들에서 있었다. 각기 다른 다섯 곳에서 발견된 필사본들은 쿰란의 공동체 자체에 환한 빛을 던져줄 뿐 아니라, 당시의 사고와 성경본문의 특성, 예수 그리스도께서 전파하셨고 기독교회가 형성되었던 성경해석의 발생배경, 당시 역사의 다양한 면모들에 대한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해준다. 어떤 것은 팔레스틴의 역사상 페르샤 왕의 통치 기간에 대한 새로운 빛을 던져준다. 사해 동굴들의 발견은 팔레스틴과 근동의 고고학 가운데서 중추적인 발견을 이룬다. “사해 두루마리"..

제13장 외 경

제13장 외 경 구약의 외경은 길이와 주제, 표현방법이 각기 다양한 14권을 말한다. 많은 영어역 성경들이 수록한 외경의 순서는 흠정역(King James)의 번역자들이 친숙한 구약의 라틴어역을 따르고 있다. 라틴어역과 다른 유일한 예외는 에스드라서가 맨 마지막 자리에서 맨 처음으로 바뀐 것이다. 벌게이트의 현대역에서는 이들 두 책이 신약의 뒤에 오며 므낫세의 기도는 벌게이트에서 빠져 있다. 영국 성공회의 제6조항(the sixth Anglican Article of Religion)은 구약 39권의 목록 뒤에 이렇게 적고 있다. “그리고(히롬 [Hierome]이 말하였듯이) 교회는 생의 모범과 예절의 교훈을 위하여, 또 다른 책들을 갖는데, 그러나 교회는 그것들을 사용하여 어떠한 교리도 수립하지 않는다..

제14장 외경의 각론

제14장 외경의 각론 1. 에스드라 1서 외경의 첫번째 책은 개신교도에게는 에스드라 1서(1 Esdras)로 알려 져 있으며, 이것은 일명 에스라의 헬라어형에서 유래되었고, 벌게이 트를 사용하는 이에게는 에스드라 3서로 알려져 있다. 벌게이트에서 정경인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각각 에스드라 1서와 에스드라 2서로 되 어 있다. 개신교에서 말하는 에스드라 1서는 로마 가톨릭에 의하여 2 차적인 정경으로 용인되지 않은 책들 가운데 한 권이다. 에스드라 1 서는 벌게이트의 클레멘트판(the Clementine edition)의 말미에 위치되어 있다. 에스드라 1서는 아마도 개신교의 목록에서는 맨 처음이었을 텐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그 명칭 때문이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약의 정경과 외경 사이의 적절한 연결을 이룬..

제15장 위경문학에 대한 서론

제15장 위경문학에 대한 서론 외경과 동시대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위경(혹은 가경, the pseude- pigrapha)으로 알려진 한 그룹의 저작들이 존재했다. 이 문헌들은 B.C. 200년부터 A.D. 200년 사이에 저술된 것으로 믿어진다. 로마 가톨릭의 성경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외경을 “2차적 정경"(deutero- cannonical books of Scripture)이라고 말하면서 개신교와 유대교 학자들이 “위경”이라 부르는 문헌의 그룹에 “외경"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토레이 교수는 “외경"과 "위경”이란 용어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하며 그 사용을 반대하면서 대신에 경전의 두 구분을 제안하였다. 즉, 교회가 정경으로 인정하는 부류와 정경에 포함되지 않고 초대교회가 “경외서" (the outsid..

제16장 위경의 각론

제16장 위경의 각론 1. 열 두 족장의 유언 본서는 A.D. 1세기 초에 유행하였던 문학양식에 속하는 것으로 보 인다. 이와 같은 부류에 속하는 책들은 모세의 전설, 아담과 이브 이야기, 이사야의 승천서, 아브라함 묵시록, 선지자들의 생애가 있다. 족장들과 선지자들에 대한 옛 전설들이 모아졌으며 새로운 전설들이 저술되었다. 어떤 기독교회의 목록에서는 이 책이 정경과 외경의 목 록에 포함되기도 한다. (1) 본서의 가치 열 두 족장의 유언의 가치는 묵시적인 성격보다는 윤리적인 성격에서 찾아질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책은 대부분이 하나님을 경외하도록 권면과 격려를 담고 있으며, 죄를 피하라는 경고를 제공하기 때문이 다. 본서의 명칭은 야곱의 열 두 아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여기서 그들은 임종 직전의 부..

제17장 필로와 그의 저작들

제17장 필로와 그의 저작들 1. 필로의 생애 온 시대를 통틀어 뛰어난 유대인 철학자 중의 하나이자 헬레니즘의 대표자는 바로 필로(Philo)였다. 고대의 다른 필로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그는 항상 필로 유대우스(유대인, Philo Judaeus), 혹은 알렉산 드리아의 필로라고 불리운다. 일반적으로 그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가장 위대하고 가장 영향력있는 저술가로 꼽힌다. 헬라적 유대교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자들은 해외에 분산된 유대교의 특징을 잘 드러내 주는 필로의 저술에서 큰 도움을 얻는다. 어떤 역사가들은 필로가 애굽의 알렉산드리아에서 B.C. 13년에 출생하였다고 하며, 다른 학자들은 B.C. 20년경, 혹은 심지어 B.C. 30년 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의 사망 연대는 클라우디우스 통치(A.D.41..

제18장 요세푸스와 그의 저작들

제18장 요세푸스와 그의 저작들 예수님과 사도들 보다 조금 나이어린 동시대인이었던 요세푸스 (Flavius Josephus)는 아마도 고대세계에서 유대인과 이방인에 의하여 가장 널리 읽혀진 헬라적 유대인 작가였을 것이다. 요세푸스의 대중성에 대한 이유 한 가지는 그의 작품이 예수님의 탄생 이전 세기와 기독교의 제1세기 동안에 걸친 팔레스틴과 디아스포라 유대인 역사의 보다 넓은 부분을 연구하기 위한 유일한 자료이기 때문이었다. 요세푸스는 2천년에 걸친 기간의 연속적이고 완전한 역사를 우리에게 제공해준다. 그의 작품들은 또한 그리스-로마 역사의 다양한 사건들을 전해주기 때문에도 가치가 있다. 중간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요세푸스의 일대기를 위해서는 이역사가가 쓴 자서전적인 자료에 거의 의존하고 있다. 그의 『..

제9장 유대교의 종교적 분파들

제9장 유대교의 종교적 분파들 유대인들이 B.C. 538년에 있었던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뒤에 두 가지 경향이 현저히 나타났다. 그 중의 하나는 성전제사와 의식들을 계속하는 것과 관계가 있었다. 포로기 이후에는 대제사장이 유대 국가의 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심지어 정치적인 관심도 갖게 되었다. 이것은 제사장과 왕의 직책이 한 사람에게 부여되었던 마카비의 반란 이후에 더욱 그러하였다. 포로기 이후 유대교의 또 다른 경향은 율법에 대한 서기관의 새로운 관심, 즉 율법의 전수와 해석이었다. 처음에 이 두 관심은 일치하 였으나 얼마 후에 그들 사이에 균열이 일어났다. 따라서 원래는 동일한 직책을 맡은 사람의 공통적인 책임이었을 성전의 일과 율법의 일이 서로 구분이 되어 한편은 정치적 문..

제10장 신구약 중간사 시대의 신학적 교훈들

제10장 신구약 중간사 시대의 신학적 교훈들 1. 신론 비록 구약의 신학적 교리들이 정경에 기술된 본질적인 것들 그대로 가르쳐졌을지라도 구약종교의 어떤 면들은 그 외에 수식이 가미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신론에 있어서 그러하다. 당시에는 하나님을 세계에서 멀리 떨어져 계신 초월하신 분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하나님의 성호를 직접 사용하기를 주저하여 대신에 완곡어를 사용하였다. 마카비 1서에서 저자는 성실하게 하나님의 이름을 생각하고 하나의 원칙으로서 하나님을 "하늘"로 말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는 이렇게 읽는다. “전쟁의 승리는 군사의 많음에 있지 아니하고 힘은 하늘로부터 온다." 이 시기에는 랍비들이 하나님을 "거룩하신 이, 찬송을 받으실 분”으로 시사한다. 예를 들면, “너는 왕 중의 왕,..

제 1장 서론

제 1장 서론 성경 독자들이 말라기 4장에서 마태복음 1장으로 책장을 넘길 때, 그들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구약에서 신약으로 건너 뛰게 될 뿐 아니라, 또 대부분의 독자들이 -생각해보지도 않았던 사실이지만- 신구약 사이의 수 세기의 기간을 건너 뛰고 있는 것이다. 말라기와 세례 요한의 출현 사이에는 약 4세기에 걸친 공백이 있다. 과거에 어떤 학자들은 이 공백기간이 유대 역사나 신약의 역사와 신학을 이해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생각하지 않은 채 “침묵의 세기들”(silent centuries)이라고 지칭하여 망각 속에 묻어버렸다. 그러나 이 세기들은, 종종 이해되고 있는 것 보다 더 큰 의미에서, 신약시대와 신약성경에 대한 이해와 정당한 평가를 위한 열쇠가 되고 있다. 구약과 신약성경의..

제2장 페르샤 통치 하의 유대인

제2장 페르샤 통치 하의 유대인 B.C. 596년에서 A.D. 70년에 이르는 기간은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하나의 결정적인 시기였다. 유대교"가 존재케 된 것은 바로 이 기간 동안이었다. B.C. 605년과 B.C. 596년에 있었던 국외 이주를 필두로 하여 수세기 동안 유대 땅에 집중되어 있었던 유대인들은이제 결과적으로 근동과 중동, 소아시아, 유럽에까지 확산된 하나의 종교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느헤미야, 에스라, 에스더와 같은 성경들과 외경과 위경에 속한 마카비서들(the Books of the Maccabees), 요세푸스가 저술한 「유대의 고사기」(Jewish Antiquities)와 「유대 전쟁사」 (Jewish War) 같은 책들은 이 기간의 역사에 빛을 비추어주는 책들이다. 또한 여..

제3장 알렉산더 대제와 유대인

제3장 알렉산더 대제와 유대인 마게도냐의 필립 왕이 나타나기 이전에는 그리스의 도시 국가들이 결코 통합된 적이 없었다. 크세르크세스 이래로 그리스 국가들의 세력이 날로 증가하여 갔지만 그들이 하나로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나라를 정복하여 제국을 형성할 만한 공격력은 없었다. 물론 모 든 도시 국가들이 헬라 동맹(Hellenic League)에 가담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연합을 성취한 이는 마게도냐의 필립이었으며, 이 동맹은 페르샤 제국을 정복하는데 하나의 힘이 되었다. 알렉산더 대제의 부친인 마게도냐의 필립은 헬라 문화에 대한 상당한 긍지를 가졌다. 그는 아들인 알렉산더를 심마쿠스(Symmachus)라는 선생에게 맡겼고, 그는 알렉산더에게 호머의 일리어드(Iliad)를 알게 해주었다. 알렉산더가 1..

제4장 프톨레미 왕조와 유대인

제4장 프톨레미 왕조와 유대인 B.C.323년에 알렉산더가 죽으면서 그는 자기의 자리에서 제국을 통치하기에 충분한 나이의 계승자를 남기지 않았다. 그가 죽은 후에 알렉산더의 박타리안 왕족인 아내 록산나에게서 한 아들이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제국을 통치하는 계승자가 되길 바라는 많은 사람들이 그의 친가와 처가에 있었다. 심지어 위대한 정복자가 장사되기도 전에 그의 왕국을 소유하고자 하는 자들의 전쟁이 시작되었다. 한 동안 알렉산더의 휘하 장수들 중의 하나였던 페르디카스(Perdiccas)가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알렉산더의 아들을 위하여 제국의 통합을 고수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알렉산더의 이복형제이며 정신 이상자인 필립 아리 대우스(Philip Arridaeus)는 알렉산더의 아들이 혼자서 통치가 가능한 ..

제5장 셀류키드 왕조 하의 유대인

제5장 셀류키드 왕조 하의 유대인 수리아를 통치한 셀류키드 왕조의 역대왕들은 다음과 같다. 셀류쿠스 1세 (Nicator) B.C.312-280 안티오쿠스 1세 (Soter) B.C.280-261 안티오쿠스 2세 (Theos) B.C.261-246 셀류쿠스 2세 (Callinicus) B.C.246-226 셀류쿠스 3세 (Keroneos) B.C.226-223 안티오쿠스 3세 B.C. 222-187 셀류쿠스 4세 (Philopater) B.C.187~175 안티오쿠스 4세 (Epiphanes) B.C.175~163 안티오쿠스 5세 (Eupator) B.C.163~162 데메트리우스 1세 B.C.162~150 데메트리우스 2세와 알렉산더 발라스의 권좌를 위한 투쟁 알렉산더 발라스 B.C.150~145 데메..

제6장 마카비가(家) 통치 하의 유대인

제6장 마카비가(家) 통치 하의 유대인 헬라화 정책에 대한 유대인의 반대는 마침내 마카비 일가가 주도하는 공공연한 반란으로 발전되었다. 이 반란은 완전한 정치적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단호한 투쟁으로 격화되었다. 유대인들과 수리아 군대 사이의 전투의 결정은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가 보낸 장교가 예루살렘과 욥바 사이의 분지에 위치한 모딘(Modin)이란 마을에 들어갔을 때 발생하였다. 아스모니안 계열의 마타디아스(Mattathias of the Asmonean line)는 이 방신을 숭배하기 위하여 세워진 제단 위에서 이방신에게 제사를 드리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연로한 제사장에게 승복하라는 특별한 요청을 하였는데 그 이유는 그가 본을 보이면 백성들이 영향을 받으리라는 수리아측의 계산 때문이었다. 만일 응락하..

제7장 하스모니안 왕조 하의 유대인

제7장 하스모니안 왕조 하의 유대인 비록 프톨레미가 시몬의 후예들을 멸절시키고자 계획하였지만 그의 아들 요한 힐카누스(John Hyrcanus)는 도피하였다. 프톨레미의 살해 음모에 대한 경고를 받으면서도 요한 힐카누스는 예루살렘으로 가서 그의 아버지가 담당하였던 대제사장의 직임을 받았다. 그는 왕의 칭호를 갖지는 않았는데 그 이유는 시몬조차도 왕이란 칭호 사용을 허락 받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하스모니안 일가의 한 사람이 왕이란 칭호를 스스로 사용하였는데, 백성들이 그를 왕으로 인정하였는지는 의심스럽다. 시몬의 죽음은 유대인에게 환란을 초래하였다. 왜냐하면 수리아인들이 시몬의 살해 소식을 듣자 예루살렘을 공략하기 위하여 진군하였기 때문이다. 오랜 동안 예루살렘이 포위공격을 받은 후에 힐카누스는 수리아 왕..

제8장 로마 통치 하의 유대인(B.C. 63~A.D. 135)

제8장 로마 통치 하의 유대인(B.C. 63~A.D. 135) 유대의 역사에 있어서 로마의 통치 기간은 B.C. 63년에 시작되며 유대인의 생활의 붕괴를 가져오는 바르-코흐바(Bar-Cochba)의 반란이 하드리안(Hadrian-로마황제)에 의하여 진압이 될 때까지 계속된다 (A.D. 135년에 하드리안은 예루살렘에 로마식 도시인 Aelia Capitolina 를 세움-역자주) 신약을 공부하는 사람에게는 이 기간이 A.D. 70 년에 있었던 예루살렘의 멸망과 성전의 파괴에서 끝이 난다. 유대인 들이 로마 통치자가 제시한 법률에 굴복하여 순종할 때 그들은 정상이 참작된 대우를 받았다. 유대교는 로마제국 안에서 인정된 종교의 하나로 취급되었다. 유대인들은 그 액수가 작아서 짐이 되지 않을 만 큼의 조공을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