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보다 멸시받는 만왕의 왕
오늘의 말씀(마가복음 15:1~15)
1. 새벽에 대제사장들이 즉시 장로들과 서기관들 곧 온 공회와 더불어 의논하고 예수를 결박하여 끌고 가서 빌라도에게 넘겨주니
2. 빌라도가 묻되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네 말이 옳도다 하시매
3. 대제사장들이 여러 가지로 고발하는지라
4. 빌라도가 또 물어 이르되 아무 대답도 없느냐 그들이 얼마나 많은 것으로 너를 고발하는가 보라 하되
5. 예수께서 다시 아무 말씀으로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빌라도가 놀랍게 여기더라
6. 명절이 되면 백성들이 요구하는 대로 죄수 한 사람을 놓아주는 전례가 있더니
7. 민란을 꾸미고 그 민란 중에 살인하고 체포된 자 중에 바라바라 하는 자가 있는지라
8. 무리가 나아가서 전례대로 하여 주기를 요구한대
9. 빌라도가 대답하여 이르되 너희는 내가 유대인의 왕을 너희에게 놓아주기를 원하느냐 하니
10. 이는 그가 대제사장들이 시기로 예수를 넘겨준 줄 앎이러라
11. 그러나 대제사장들이 무리를 충동하여 도리어 바라바를 놓아 달라 하게 하니
12. 빌라도가 또 대답하여 이르되 그러면 너희가 유대인의 왕이라 하는 이를 내가 어떻게 하랴
13. 그들이 다시 소리 지르되 그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14. 빌라도가 이르되 어찜이냐 무슨 악한 일을 하였느냐 하니 더욱 소리 지르되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하는지라
15. 빌라도가 무리에게 만족을 주고자 하여 바라바는 놓아주고 예수는 채찍질하고 십자가에 못 박히게 넘겨주니라
오늘의 말씀요약
빌라도에게 넘겨진 주님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으십니다.
죄수 한 명을 놓아주는 명절 전례에 따라, 빌라도가 예수님을 놓아줄지 묻습니다.
대제사장들에게 충동된 무리는 바라바를 놓아주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소리칩니다.
빌라도가 무리를 만족시키려고 그들의 요구대로 합니다.
오늘의 말씀해설
빌라도의 심문, 예수님의 침묵 (15:1~5)
예수님 당시 사형 집행의 최종 결정권은 로마 총독에게 있었습니다.
공회는 신성 모독죄를 적용해 예수님을 사형에 처하기로 결의했지만(14:64), 다시 정치 반역죄로 바꾸어 총독 빌라도에게 기소합니다.
로마 관리들이 유대의 종교 문제에 관여하는 것을 기피했기 때문입니다(요 18:30~31).
종교 지도자들은 예수님이 로마에 대한 납세를 거부하도록 백성에게 가르쳤고, 자칭 유대인의 왕 그리스도라고 백성을 현혹해 폭동을 조장했다는 거짓 기소까지 덧붙입니다(눅 23:2, 5).
대제사장과 온 공회가 정치 반역자로 몰아가자,
빌라도는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라고 예수님께 심문하고 “네 말이 옳도다.”라는 진술을 받아 냅니다(2절).
예수님은 ‘왕’인 자신의 신분만 재판장에서 당당하게 밝히십니다.
- 공회가 예수님을 정치적 반역죄로 기소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 수많은 고발에 침묵하신 예수님 모습에서 내가 얻는 교훈은 무엇인가요?
예수님과 바라바 (15:6~15)
당시에 명절 때마다 죄수 한 명을 방면하는 관례가 있었습니다.
무리가 관례대로 해 달라고 빌라도에게 요청합니다.
폭동을 일으키고 살인을 한 바라바가 갇혀 있었기에, 빌라도는 예수님과 바라바 중 누구의 석방을 원하느냐고 묻습니다.
그는 공회의 기소가 시기심에서 비롯된 것도, 예수님이 법리적으로 무죄임도 알고 있었습니다(눅 23:4).
예상과 달리 무리가 살인자 바라바를 선택하자 빌라도는 갈등합니다.
무리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아 처형하라고 요구합니다(13절; 요 19:12).
폭동이 두려웠던 빌라도는 예수님의 십자가형을 승인하고 맙니다(15절).
예수님이 무죄임을 알면서도 자신의 책임을 회피한 빌라도는 유죄입니다.
- 갈등하던 빌라도가 결국 살인자 바라바를 놓아준 이유는 무엇인가요?
- 왕이신 예수님이 극악한 살인자보다 멸시받으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오늘의 기도
주님!
아무 죄 없으신 예수님을 죽이려 한 사람들을 보며,
구원의 가치를 모르고 사는 저도 그들과 다르지 않음을 봅니다.
택하신 백성의 구원을 위해 정죄와 조롱과 죽음을 감당하신 주님의 사랑을 알게 하소서.
다수의 말보다도 하나님 말씀을 듣고 결정하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신앙의 길 > 오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류의 죄 때문에 고난받는 종 (1) | 2024.02.20 |
---|---|
고난의 쓴잔을 온전히 받으신 예수님 (0) | 2024.02.19 |
예수님의 정체성,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 (1) | 2024.02.16 |
배반의 입맞춤, 도망가는 제자들 (0) | 2024.02.15 |
생명의 주님이 제정하신 생명을 나누는 성만찬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