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품팔이(代杖): 곤장
안주(安州)의 한 백성이 볼기 맞는 매품을 팔아 살아갔다.
외군(外郡) 아전이 병영(兵營)에서 곤장 7대를 맞게 되매
돈 5꿰미를 걸고 대신 매맞을 사람을 구하였더니 그 매품팔이가 선뜻 나섰다.
집장(執杖) 사령(使令)은 그 자가 번번히 나타나는 것이 얄미워 곤장을 혹독하게 내리쳤다.
매품팔이는 곤장이 갑자기 사나워질 것을 생각지 못하였으므로 우선 참아 보았으나,
두 번째 매가 떨어지매 도저히 견뎌 낼 재간이 없어서 얼른 다섯 손가락을 꼽아 보였다.
5꿰미의 돈을 뒤로 바치겠다는 뜻이었다.
집장 사령은 못 본 척하고 더욱 심하게 내리쳤다.
곤장 7대가 끝나기 전에 이러다가 자기가 죽게 될 것임을 깨달은 매품팔이는
재빨리 다섯 손가락을 다시 펴 보였다.
뒤로 먹이는 돈을 배로 올리겠다는 뜻이었던 것이다.
그 때부터 매는 아주 헐하게 떨어졌다.
매품팔이는 나와서 사람들을 보고 뽐내는 것이었다.
"내가 오늘에야 돈이 좋은 줄 알았네. 돈이 없었으면 오늘 나는 죽었을 사람이었지."
매품팔이는 돈 10꿰미로 죽음을 면할 줄은 알고,
자기가 받은 것은 5꿰미 밖에 안되는 것은 모르는구나.
어리석은 촌사람이로다.
이보다 더한 일이 있었다.
형조(刑曹)의 곤장 백 대는 속전(贖錢)이 7꿰미였고,
대신 매를 맞아 주는 사람이 받는 돈 역시 마찬가지였다.
매를 대신 맞는 일로 살아가는 자가 있었는데,
어느 무더운 여름날 백 대 매품을 하루에 두 차례나 팔고 비틀비틀 자기 집을 찾아갔다.
그 여편네가 또 백 대 품을 선셈으로 받아놓고 남편을 보자 기쁜 듯이 말했다.
사내는 상을 찌푸리면서
"내가 오늘 죽을 똥을 쌌어. 세 번은 못 하겠네." 하니까
여편네는 돈이 아까워서,
"여보 잠깐 고통을 참으면 여러 날 편히 배불릴 수 있잖수.
그럼 얼마나 좋우, 돈이 천행으로 굴러온 걸 당신은 왜 굳이 마다 허우?"
하고 술과 고기를 장만하여 대접하는 것이었다.
사내는 취해서 자기 볼기를 쓰다듬으며 허허 웃고,
"좋아요." 하고 나갔다.
가서 다시 곤장을 맞다가 그 자리에서 즉사(卽死)하고 말았다.
그 후 여편네는 이웃의 미움을 사서 구걸도 못하고 길에 쓰러져 죽었다.
슬프다!
위의 두 이야기는 족히 세상에 경계가 되리라.
'쉼터 >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골 종녀촌의 슬픈 사연 (0) | 2016.02.03 |
---|---|
방귀쟁이 설화 (0) | 2016.02.03 |
발치(拔齒)설화 (0) | 2016.02.02 |
견우(牽牛)와 직녀(織女) (0) | 2016.02.02 |
박혁거세신화(朴赫居世神話)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