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와왕 설화
동부여 금와왕에 관한 설화.
부여왕 해부루(解夫婁)가 늙도록 아들이 없어
산천에 제사하고 왕위를 이을 아들〔嗣子〕을 구하였는데
하루는 왕이 탄 말이 곤연(鯤淵)에 이르러 큰 돌을 보고 마주 대하여 눈물을 흘렸다.
이를 보고 왕이 이상히 여겨
사람을 시켜 그 돌을 들추어 보니 그 밑에 한 어린 아기가 있는데
빛은 금빛 같고 모습은 개구리와 같았다.
왕은 크게 기뻐하며, 이것은 하늘이 대를 이을 아들을 주신 것이라 생각하고 거두어
이름을 금와(金蛙)라고 하였다.
금와가 장성하자 태자를 삼고 해부루가 죽은 뒤 왕위를 잇게 하였다.
금와왕은 즉위한 뒤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한 여자를 만나 물으니
그 여자는 본시 하백(河伯)의 딸로 이름은 유화(柳花)인데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와 사통(私通)하여 부모에게 내쫓기어 우발수에 살고 있었다.
금와가 유화를 데려왔는데 햇빛이 유화의 몸을 따라 다니며 비추었다.
그로 인하여 태기가 있더니 마침내 되들이 만한 알을 하나 낳으니
금와는 이를 내다 버리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개·돼지·소·말 들이 이 알을 피하여 먹지 않으며 새들이 보호하려 들고
왕 자신이 알을 깨뜨리려 해도 깨뜨리지 못하게 되니
왕은 알을 어미에게 되돌려 주었다.
이 알에서 태어난 아기가 바로 고구려의 시조 주몽(朱蒙)이다.
금와의 일곱 아들들이 주몽을 시기하여 그를 처치할 것을 건의하였지만
금와는 듣지 않고 주몽으로 하여금 말을 기르게 하여 그 뜻을 시험하고자 하였다.
그 뒤 주몽이 달아나자 그를 추격하는 군대를 파견하였지만 잡지 못하였다.
주몽이 고구려 건국을 위하여 남쪽으로 떠난 후에
유화가 24년에 죽자 태후(太后)의 예로서 장사를 치러주었다.
금와의 사후 왕위는 아들인 대소(帶素)에 의하여 계승되었다.
'쉼터 >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파식적설화(萬波息笛說話) (0) | 2016.02.17 |
---|---|
글 잘하는 사위 (0) | 2016.02.16 |
달팽이 각시 (0) | 2016.02.16 |
까치의 보은 (0) | 2016.02.15 |
까치의 재판(裁判)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