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목생화설화
죽은 자식에게서 명당을 써서 자손을 얻는다는 내용의 설화.
사자득손(死子得孫) 또는 사자생손설화(死子生孫說話)
죽은 나무에서 다시 꽃이 피듯이,
다 망한 집에서 자손이 나와서 가문을 일으켜 후손이 번성하고 영달하게 된다는 이야기
이 설화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유형은 죽은 아들의 영혼이 사또의 딸과 혼인하는 경우이다.
인심 좋은 진사의 귀한 아들이 단명하여 죽었을 때
중이 동냥을 와서 죽은 아들을 길가에 묻게 하는데,
이 때 가문을 표시하는 신물(信物)을 무덤에 넣게 한다.
그 뒤, 부임하는 신관 사또 딸이 죽은 아들의 영혼과 혼인하고,
신물을 증거로 진사의 며느리가 되어 쌍둥이 아들을 낳는다.
둘째 유형은 죽을 운명의 아들이 다른 곳에 가서 처녀와 혼인하고 죽은 이야기이다.
어떤 부자가 아들 셋을 두고 죽는다.
풍수에게 물어, 벼슬하여 출세할 후손은 둘 것이나
아들 삼 형제는 곧 차례로 죽게 된다는 명당을 택하게 된다.
그 뒤 아들 두 명이 자손도 없이 죽자 셋째아들은 집을 떠나는데,
우연히 부잣집 딸을 만나서 혼인하고 거기서 죽는다.
셋째며느리가 시집으로 찾아가 세 쌍둥이를 낳아
세 과부 며느리는 하나씩 아들을 차지하여 대를 잇는다
'쉼터 >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양이목설화(寶壤梨木說話) (0) | 2016.02.18 |
---|---|
구복여행설화(救福 旅行說話) (0) | 2016.02.17 |
동방삭 설화(東方朔說話) (0) | 2016.02.17 |
만파식적설화(萬波息笛說話) (0) | 2016.02.17 |
글 잘하는 사위 (0) | 2016.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