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6 11

1장 : 서론

서  론 과학과 종교는 대립하는가? 아니면 서로 관심이 없는가? 현대 과학과 종교 신념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우리 시대의 가장 활발한 논의 중 하나가 되었다. 누구라도 이에 대한 논의들 중 하나는 지지할 것이다. 과학이 종교 신념을 별로 중요하지 않게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고, 반대로 신앙이 아직도 건재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와 동시에 종교와 과학을 연결하는 다리를 만들려는 시도가 학문 분야 에서 활발해졌다. '과학과 종교' 또는 '신학과 과학'이라 불리는 이 분야는, 어 떻게 과학과 종교가 과거에 서로 관계를 맺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논의에 집중 해왔다.  또한 과학과 종교가 어떻게 현재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연구에 집중해왔다. 여기에서 역사와 철학은 과학과..

2장 : 현대 과학에서의 창조

2장 : 현대 과학에서의 창조 과학적 구조 공간, 시간, 물질 시간과 공간에 대한 우리의 사고방식은 몸에 깊이 배어 있어서, 우리는 거의 시간과 공간에 대해 의문을 갖지 않는다. 아우구스티누스가 《고백록》에서 우리의 일상 대화 속에 어떤 단어도 '시간'보다 더 친숙하거나 더 쉽게 이해되는 단어는 없다고 지적한 것은 유명하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스스로에게 '시간'이 무엇인지를 묻는다면, 우리는 곧 당황하게 될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말한다.  "만약 아무도 제게 묻지 않는다면, 저는 시간이 무엇인지 충분히 잘 압니다(《고백록》 11권 14장).” 그리고 그는 시간을 정의하려 할 때, 자신과 관계된 사건의 측면에서 정의한다. "저는 다음의 것을 안다고 분명히 말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무것도 지나가지 않..

3장 : 성서에서의 창조 1 [창세기]

3장 : 성서에서의 창조 1 [창세기] 첫 번째 창세기 창조 설명 : 창세기 1:1~2:4a (P문서) 제사장 문서창세기 첫 부분에 두 개의 구별되는 창조 설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문서설'의 핵심중 하나다(1장 참조). 비록 베닿우젠이 체계화한 후 많은 비판과 개정이 있었지만, 문서설의 기본 사상은 성서 연구에 빠르게 침투했다.그러므로 우리는 창세기의 핵심 첫 몇 장을 볼 때, 본문의 기저에 있는 역사적 표현에 너무 지붕하지 않은 채, '아훼'문서와  '제사장' 문서 같은 용어를 계속 사용할 것이다.  편의상 우리는 창세기 1~2장의 창조 이야기를 P문서로, 창세기 2~3의 창조 이야기를 J문서로 언급할 것이다. 우리가 여기에서 적어도 두 개의 구별되는 창조 전승을 다룬다고 해서, 어떤 특정한..

4장 : 성서에서의 창조 2 [창조 주제]

4장 : 성서에서의 창조 2 [창조 주제] 창조와 이야기 비록 창세기 창조 본문이 보통 성서 창조 사상의 우선적인 자료로 간주 되지만, 보다 많은 창조 자료들이 성서에 등장한다.이 많은 창조 자료들은 창세기 창조 설명과 함께, 매우 다양하게 창조를 설명한다. 우리는 창세기 외의 성서 창조 설명을 '창조 주제(creation motif)'라고 부를 것이다(1장의 “성서에 등장하 는 창조" 참조). 뿐만 아니라 이 창조 자료의 일부는 P문서 또는 J문서(주로 P문 서)와 관련이 있긴 하지만, 그 외 많은 다른 내용들도 있다. 이것은 성서에 '창조신학'이라기보다 '창조 신학들'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월터 브루그만이 설명한 것과 같이, 이 창조 신학들은 “세상을 창조한 야훼를 증언한다는 사실에 의해 서로 연결..

5장 : 성서 창조의 구조

5장 : 성서 창조의 구조 자연적 그리고 초자연적 5~6장에서 우리는 우선 성서 본문의 자연적 구조를, 이어서 신학적 구조를 이해하는 방법을 논하면서, 어떻게 성서의 창조 본문이 현대 과학 - 신학 분야의 논의에 통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비록 우리 문화에서 신학적 담론과 과학적 담론을 구별하는 것이 복잡하지 않을지 몰라도, 성서에 접근하면 이 문제는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고대 히브리 과학 체계의 상당 부분이 신학적 용어로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신학적 용어의 상당 부분이 과학적 용어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영적 세계의 개념과 이에 반대되는 물질 세계, 즉 사물의 기적(초자연적)과 이에 반대되는 일상 체계(자연적)를 말하기 위해 '자연', '초자연적'이라는 일반적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6장 :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

6장 :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 무로부터의 창조 지난 150년간의 과학 혁명은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법에 지대한 영행을 끼쳐왔다.물리학과 생물학에서 강조된 진화 모델은 하나님의 초월성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친밀하게 세계에 현존한다는 성서 관점을 재평가하게 했다.  이 장에서 우리는 성서 창조 자료의 신학적 구조를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 바라볼 것이다. 이를 위해 하나님의 창조 행위의 유형을 구별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는 두 범주, creatio ex nihilo(무로부터의 창조)와 creatio continua(계속적 창조)를 고찰할 것이다. 이 범주들은 종종 과학-신학 영역에서 사용되었지만, 성서의 창조 사상과 관련해서는 지위가 확실하지 않다(앞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7장 : 타락

7장 : 타락 과학적 도전들 5~6장에서 성서 창조 본문들의 과학적 .신학적 체계를 탐구하면서. 우리는 J문서(야훼)의 창조 이야기(창 2:4b~3:24)를 거의 거론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윈의 《종의 기원> 이래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서 문서의 창조 이야기는 중요 해졌기 때문에 하나의 장으로 다룰 만하다.  성서학자들과 신학자들은 에덴동산의 아담과 하와 이야기를 종종 '신화' 로서 언급한다. 분명 현대 진화생물학은 첫 인간이 태초에, 심지어 다른 동식물들의 창조 이전에 완벽한 형태로 등장했다는 J문서의 사상을 역사적 이야기로 신뢰하지 않는다. 현대 과학자들은 지구상에 인간이 등장한 것이 상당히 최근의 일로, 수억 년에 걸친 생명의 진화 과정의 결과로 이해한다. 반면에 많은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은 근본적인 ..

8장 : 고통과 악

8장 : 고통과 악 고통과 죽음의 문제 7장에서 우리는 역사적 타락(죄, 죽음, 구원에 상당히 중요한 근본적 기독교 사상)이 과학적인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성서에서조차 별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이제 우리는 타락에 너무 의존하지 않고, 인간악과 죽음, 그리고 자연 세계에서 진화가 야기하는 고통에 대답할 수 있는 적절한 진화 신학이 형성될 수 있는지를 숙고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이 있다. 진화의 상황을 고려하여 죄와 죽음을 설명하는 신학은 종종 '유신론적 진화론(theistic evolution)'으로 일컬어진다. 하지만 나는 '진화 신학(evolutionary theologies)'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미 그렇게 부르는 많은 학자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연구..

9장 : 과학적 종말론과 새로운 창조

9장 : 과학적 종말론과 새로운 창조 과학적 종말론 : 세상 종말 모델  성서의 창조 주제는 이 주제의 한 부붖인 '새로운 창조'가 고려되기 전까지는 충분히 다루워 진 것이 아니다.세상의 시작은 오직 세상의 끝에서 그 진정한 의미가 드러날 것이고, 새로운 시작에서 완성될 것이다. 즉 (전 적으로 우리의 관점에서) 물리 우주의 진화는 신학적 중요성을 갖는데, 이 중요성은 오직 종말의 관점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질문이 제기된다. 성서의 종말론적 본문들이 어느 정도까지 물리 세계의 운명을 문자적으로 예언하는가? 물리 세계에 대한 성서의 종말론적 예언들이 역사 속에서 사회적, 정치적 혹은 종교적 변화에 대한 은유로 이해될 수 있는가?  2,000년의 기독교 전통은 이런 본문들을 문자..

10장 : 결론

10장 : 결론 과학과 창조의 벅잡한 관계  창조는 성서에서 많은 다양한 의미의 층을 가진 중요한 신학적 주제이지만, 우리는 현대 과학이 여기에 너무 피상적인 수준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성서 본문에서 고대 과학관의 자취를 정확히 묘사할 수 있다. 현대 세계관으로 인해 성서의 지위는 의문시되고 있지만, 성서에 묘사된 고대 과학관은 여전히 타당하고 폭넓은 신학적 목적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성서의 창조 본문들이 과학적 견지에서 상당히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사실이,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에 대한 성서 본문의 다양한 묘사들을 무의미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사실 현대 과학은 이 관계에 대해 거의 직접적으로 말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성서는 과학의 환원주의적 경향과는 반대로 상당히 포괄적..

위기 상황에서 다른 나라를 의지하는 죄

위기 상황에서 다른 나라를 의지하는 죄  오늘의 말씀(열왕기하 16:1~9)1 르말랴의 아들 베가 제십칠년에 유다의 왕 요담의 아들 아하스가 왕이 되니 2 아하스가 왕이 될 때에 나이가 이십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육 년간 다스렸으나 그의 조상 다윗과 같지 아니하여 그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지 아니하고 3 이스라엘의 여러 왕의 길로 행하며 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 사람의 가증한 일을 따라 자기 아들을 불 가운데로 지나가게 하며 4 또 산당들과 작은 산 위와 모든 푸른 나무 아래에서 제사를 드리며 분향하였더라 5 이때에 아람의 왕 르신과 이스라엘의 왕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예루살렘에 올라와서 싸우려 하여 아하스를 에워쌌으나 능히 이기지 못하니라 6 당시에 아람의..